현직 7년차 코인 트레이더입니다
이제 업비트같은 현물에서 수익을 얻긴 힘들다는걸 아실겁니다
물떠놓고 기도나하는 매매는 하락장에서는 안통합니다
하락장에서는 마진으로 대응을 해야만 현명한 투자를 할수 있습니다
세계 3대 비트코인 마진거래소
바이비트 수수료 20% 평생할인 가입링크
https://www.bybit.com/ko-KR/register?affiliate_id=19606&group_id=0&group_type=1
가입만 하셔도 다양한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하락장에도 걱정마시고 비트코인 마진거래로 대응하세요
다시는 2017년 같은 잘못을 하면 안됩니다
가입 하신후 UID번호알려 주신후 goodbem3819@naver.com 으로 메일 주시면
코인 대응전략에 도움드리겠습니다
일반 회원인 척… “투자 팁 알려주겠다” 접근
비전문가·신뢰 높은 점 악용해 코인 사기
입력 2021.06.25 06:00
“단 몇 분 만에 3000만원을 날렸다. 임신 막달인데 어찌 해야 할지 막막하다.”
만삭의 30대 여성 A씨는 지난 1월 한 맘카페에서 ‘500만원을 투자해서 1200만원을 벌었다’는 소식을 접했다. 해당 글에는 특정 재테크 카페가 소개돼 있었고, 해당 카페에 수많은 투자 성공 후기 글이 올라와있는 것을 확인한 A씨는 별다른 의심 없이 전화번호를 적어내고 카페에 가입했다.
일주일 뒤, 자신을 재테크 카페 매니저라고 밝힌 B씨에게서 연락이 왔다. B씨는 본인의 투자 방식을 설명하며 본인에게 상담받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메시지, 투자받은 후기 등을 보내면서 A씨의 환심을 샀다. 비트코인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는 사실 외에 가상화폐에 대해 무지했던 A씨는 그에게 3000만원을 투자했고 5개월이 지난 현재 A씨는 이익은커녕 원금도 돌려받지 못했다.
일러스트=정다운
◇ “친구라고 생각했는데”… 육아정보 공유 앞세운 투자 사기 속출
최근 가상화폐 거래참여자가 580여만명에 이르는 등 코인 열풍이 식지 않고 있는 가운데, 맘카페를 통한 가상화폐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평소에는 맘카페에 일상 글을 올리며 카페 회원들에게 신뢰를 얻은 후 투자 수익 인증 글을 올려 호기심을 자극하는가 하면, 실제 존재하지 않는 투자방식을 그럴듯하게 꾸며내 맘카페 회원들의 돈을 끌어모으는 식이다.
40대 여성 C씨는 지난해 11월 맘카페를 통해 알게 된 지인 D씨로부터 ‘투자 정보’를 들었다. D씨는 “곧 상장될 코인인데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지금 돈을 넣으면 코인 상장 후에는 무조건 가격이 몇 배는 뛴다”며 C씨에게 투자를 권유했다.
오프라인에서도 만남을 가지며 친분을 이어가던 사이였던 그를 믿은 C씨는 해당 코인에 1억원을 투자했다. 코인은 지난 4월 상장폐지 됐고 C씨는 D씨로부터 아무런 피해보상도 받지 못했다. C씨가 투자한 1억원은 그가 지난 15년간 직장생활을 하며 어렵게 모은 돈이었다.
‘육아 정보 공유’를 빌미로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접근하는 경우도 있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육아 관련 정보를 얻었던 20대 여성 E씨는 지난 4월 말 계정 프로필에 ‘30대 애 둘 맘’이라는 소개를 올려놓은 한 이용자로부터 친구 요청을 받았다. 별다른 의심 없이 친구를 수락한 E씨에게 그는 지난 5월 재테크 방법을 소개하며 투자를 권유했다. 다행히 실제 투자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E씨는 “최근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이 하루에도 몇 명씩 있다”고 했다.
24일 맘카페에 코인 투자를 유도하는 글이 올라와 있다. /네이버·다음카페 캡처
24일 경찰청에 따르면 가상화폐 투자 사기 범죄 피해액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총 2136억원이던 피해액은 지난달 말일 기준 4조1615억원으로 집계됐다.
검거 건수도 최근 1~2년 사이에 대폭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에 따르면 2017년 41건이던 가상화폐 불법행위 건수는 이듬해 62건으로 증가한 뒤 2019년 103건으로 급증했고, 2020년 들어서는 3배 이상 늘어 333건으로 집계됐다.
가상화폐 관련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액은 반년만에 전년도의 20배 수준으로 늘고, 사기 등 불법행위를 저질러 경찰에 입건된 건수는 3년만에 7배를 넘긴 것이다.
◇ “맘카페 회원간 신뢰 높아… 사기행각에 속수무책”
전문가들은 ‘엄마’라는 공통분모에서 형성된 신뢰관계를 악용한 전형적인 사기라고 했다.
배상훈 프로파일러는 “맘카페는 아이를 키우는 3,40대 여성들이 육아, 학교, 학원 등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소통하는 공간”이라며 “그런 하나의 공통 관심사가 있으면 곧바로 다른 주제로 넘어가기 쉬운 특성이 있다. 범죄자들이 그걸 알고 그 부분을 공략하기 때문에 맘카페를 통한 사기범죄가 급증하는 것”이라고 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도 “맘카페 회원들은 이해관계로 얽혀 있지 않고, 엄마로서의 공감대를 나누는 관계이기 때문에 다른 집단보다 서로에 대한 신뢰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신뢰 관계를 이용한 사기 수법에 쉽게 넘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늘어나는 ‘코인 사기’에 대처하기 위해 경찰청은 가장자산 불법행위 근절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전국 시도청 금융범죄수사대와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내에 전담팀을 지정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코인에 투자하면 원금을 초과한 수익을 약정한다는 수법, 자체 개발 코인을 빙자한 투자 사기 수법 등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