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코인의 늪]사기피해자 10명 중 7명 코로나19 취약층
현직 7년차 코인 트레이더입니다
이제 업비트같은 현물에서 수익을 얻긴 힘들다는걸 아실겁니다
물떠놓고 기도나하는 매매는 하락장에서는 안통합니다
하락장에서는 마진으로 대응을 해야만 현명한 투자를 할수 있습니다
세계 3대 비트코인 마진거래소
바이비트 수수료 20% 평생할인 가입링크
https://www.bybit.com/ko-KR/register?affiliate_id=19606&group_id=0&group_type=1
가입만 하셔도 다양한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하락장에도 걱정마시고 비트코인 마진거래로 대응하세요
다시는 2017년 같은 잘못을 하면 안됩니다
가입 하신후 UID번호알려 주신후 goodbem3819@naver.com 으로 메일 주시면
코인 대응전략에 도움드리겠습니다
[불량코인 피해자 316명 리포트-<1>]코인 인질된 사기피해자들
사기피해 66% 코로나 취약층
자영업자 22%·판매·노무 16%
47% “고위험·고수익 모험투자”
35% 빚내투자·63% “규제강화”
단독[아시아경제 공병선 기자, 구채은 기자] 코인 사기 피해자 셋 중 둘 이상은 코로나19로 인해 자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 셋 중 한명 이상은 빚을 내 투자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아경제 설문조사에 응한 316명의 코인 사기 피해자 중 66.8%(211명)가 ‘코로나19로 인해 소득 및 자산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10명 중 7명 가까이가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와중에 가상화폐 사기까지 당한 셈이다. 이밖에 ‘코로나19로 인해 소득 및 자산이 변화 없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26.3%(83명), ‘소득 및 자산이 증가했다’고 말한 사람은 7%(22명)로 나타났다.
사기 피해자를 직업군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 여파에 취약했던 자영업자, 판매·서비스·노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각각 22.5%(71명), 16.1%(51명)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직업군은 사무·관리직으로 35.1%(111명)였고, 이외에 주부(9.5%·30명), 무직(3.8%·12명), 전업투자자(2.2%·7명) 학생(1.9%·6명)도 있었다. 설문조사에 응한 가상화폐 사기 피해자의 평균 나이는 약 43세, 평균 피해금액은 8090만원으로 집계됐다. 설문 결과를 본 안일원 리서치뷰 대표는 "가상화폐 사기 피해자 다수가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해 피해를 본 사람들로 보인다"며 "이는 우리 사회의 양극화 등을 보여주는 어두운 단면"이라고 해석했다.
◆3명 중 1명 ‘빚투’ = 피해자들 중 상당수는 ‘빚투’를 하다가 사기를 당했다. 은행 및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투자한 사람은 응답자 중 35.1%(111명)였다. 3명 중 1명 이상은 대출을 받아 ‘불량 코인’에 투자를 했다가 사기를 당한 셈이다. 근로소득, 타 용도로 마련한 목돈으로 투자한 사람은 56.3%(178명), 19.3%(61명)이었다. 다른 투자상품을 현금화한 자금을 활용해 투자했다고 응답한 사람은 7.3%(23명)에 불과했다. 316명에게 ‘가상화폐 투자의 성격’을 묻자 절반에 가까운 47.5%(150명)가 ‘고위험 고수익의 모험적인 투자’라고 답했다. 블록체인 등 미래기술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했다는 사람은 34.2%(108명), ‘풍부한 유동성과 저금리 환경 속 대체 투자수단’이라고 답한 사람은 13.6%(43명)로 나타났다.
◆10명 중 6명 "규제강화" = 가상화폐 사기 피해자들은 코인 시장에 대해 강력한 규제를 원했다. 응답자 중 63.6%(201명)는 ‘허가제에 준하는 규제 강화’를 원했다. ‘현행 신고제를 유지하되 불법행위 처벌 대폭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한 사람은 30.5%(96명), ‘현행 신고제 유지’를 답한 사람은 1.6%(5명)로 조사됐다. 가상화폐 거래소 관리는 주식시장에 준하는 수준을 바랐다. 절반에 가까운 48.7%(154명)가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해 주식시장과 동일한 수준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주식시장보다 더욱 엄격한 관리가 있어야 한다고 답한 사람도 25.6%(81명), 다소 강력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은 10.2%(32명)였다. 주식시장보다 느슨한 규제를 원한 사람은 15.5%(49명)였다.
전문가들은 가상화폐 사기에 대한 법적 규제 마련과 강력한 처벌에 공감하면서도 투자자 스스로도 공부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상화폐 시장 자체가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없을 정도로 변동성이 크다"며 "시장에 대한 이해 없이 투자를 하게 된다면 사기 행위에 휘말리기 쉽다"고 했다. 김승주 고려대 교수는 "거래소에서 불량 코인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하는 동시에, 투자자들도 불량코인을 판별할 수 있는 안목을 갖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아시아경제가 가상화폐 사기 피해를 입은 주빌리에스·브이글로벌·비트소닉 등 총 12개 가상화폐 사기 피해자 커뮤니티에서 316명을 대상으로 지난 1~15일 진행했다(무한모집단에서 무작위 추출했다는 가정 하에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5.5%포인트). 설문 문항 적정성은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자문을 받았다. 언론이 지난해와 올해 집중적으로 터진 가상화폐 사기 피해자들을 역추적해 심층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